
가상주소공간의 스택메모리 - 호출된 함수의 복귀주소와 분석
·
리버싱
복귀주소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개념스택: LIFO 구조의 자료구조로 함수 호출 시 로컬 변수와 복귀 주소를 저장함스택 프레임: 함수 호출마다 생성되는 메모리 블록, 반환되면 프레임이 제거됨프로그램 카운터: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스택 포인터: 스택의 가장 마지막, 위쪽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프레임 포인터: 스택 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 호출하는 호출자 Caller 함수는 호출대상 Callee 함수를 호출할 때 되돌아올 주소값을 스택에 백업함1. 복귀주소 Return Address란?함수가 끝난 후 다시 돌아갈 주소를 복귀주소라고 한다. 함수명() 명령이 호출되고 실행될 때 복귀주소가 스택에 저장되고 함수 실행이 끝나면 원래 프로그램으로 돌아가야 함. 인텔 ..